보험계리사는 보험료 및 책임준비금 산출방법서의 작성, 책임준비금 비상위험준비금 등 준비금의 적림과 준비금에 해당하는 자산의 적정성 분석, 잉여금의 배분처리 및 보험계약자 배당금의 배분, 지급여력비율 계산 중 보험료 및 책임준비금과 관련된 사항, 상품공시자료 중 기초서류 작성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.
보험계리사 부분합격제도
- 1차 시험에 합격한 사람은 1차시험에 합격한 해를 포함하여 5년간 2차시험 응시가능하다.
- 2차 시험의 과목 중 60점 이상 득점한 과목에 대해서는 해당년도를 포함하여 5년간 동일점수를 득점한 것으로 인정한다.
- 2차 시험 5과목을 모두 60점이상 득점해야하는 절대평가방식
보험계리사 시험과목
1차시험과목: 보험계약법(상법 보험편), 보험업법 및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, 경제학원론, 보험수학, 회계원리
2차시험과목: 계리리스크관리, 보험수리학, 연금수리학, 계리모형론, 재무관리 및 금융공학
영어시험대체 - 토익700점이상
보험계리사 취업전망
2021년부터 도입되는 보험사의 새 국제회계기준(IFRS17)을 위한 시스템 마련을 위해 보험계리사 시험제도를 변경해 합격자 수를 대폭 늘릴 계획이다.
금융당국은 제도개선 등을 통한 향후 5년간 약 500명이 추가로 보험계리사 자격을 획득하여 양질의 청년 고용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.